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례를 통해 알아보는 그레샴의 법칙(Gresham's Law)

by 내일의 통장 2024. 7. 17.

그레샴의 법칙(Gresham's Law)은 "악화(惡貨)가 양화(良貨)를 구축한다"는 격언으로 요약되며, 동일한 명목 가치를 가진 두 종류의 화폐가 공존할 때, 가치가 더 낮은 화폐가 가치가 더 높은 화폐를 시장에서 몰아내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이 법칙은 주로 금화와 은화, 혹은 금본위와 지폐 등의 상황에서 자주 언급됩니다. 다음은 그레샴의 법칙이 적용된 몇 가지 역사적 사례입니다.

 

로마 제국의 데나리우스(Denarius)

로마 제국 시대의 데나리우스는 초기에는 순은으로 주조되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은 함유량이 감소하고 구리와 같은 금속이 혼합되었습니다. 로마인들은 더 순수한 은화 데나리우스를 보유하고, 가치가 낮아진 데나리우스를 유통시키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로 인해 순은 데나리우스는 유통에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영국의 금화와 은화 (16세기)

16세기 영국에서는 금화와 은화가 동시에 유통되었습니다. 은화의 은 함유량이 줄어들기 시작하자 사람들은 가치가 더 높은 금화를 보유하고, 일상 거래에서는 가치가 더 낮아진 은화를 사용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금화는 유통에서 점점 사라지게 되었고, 그레샴의 법칙이 적용되는 전형적인 사례가 되었습니다.

 

스페인의 은화와 페소 (16~17세기)

스페인은 16세기와 17세기에 걸쳐 아메리카 대륙에서 대량의 은을 수입하여 은화를 주조했습니다. 그러나 은화의 순도가 점차 낮아지면서 사람들은 순도가 높은 은화를 보유하고, 순도가 낮은 은화를 거래에 사용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순도가 높은 은화는 시장에서 사라지고, 낮은 은화가 주로 유통되었습니다.

 

미국의 금화와 은화 (19세기)

19세기 미국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일어났습니다. 1792년 화폐 주조법(Coinage Act of 1792)에 따라 금화와 은화가 주조되었으나, 1834년 화폐 주조법(Coinage Act of 1834)으로 인해 금의 가치가 상승하면서, 사람들은 가치가 더 높은 금화를 보유하려 하고, 거래에서는 은화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금화는 점차 유통에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20세기 초 독일의 금마크와 은마크

제1차 세계대전 전후의 독일에서는 금마크와 은마크가 유통되었습니다. 전쟁 후 독일의 경제 상황이 악화되면서 은마크의 가치가 상대적으로 더 낮아졌습니다. 사람들은 가치가 더 높은 금마크를 보유하려 했고, 은마크가 주로 유통되었습니다. 이 또한 그레샴의 법칙의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인도의 금과 은 (20세기 초)

20세기 초 인도에서도 금과 은이 동시에 통용되었습니다. 영국 식민지 시절, 은의 가치는 점점 하락했으나, 금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습니다. 이에 따라 인도 사람들은 금을 보유하고 은을 일상 거래에 사용하게 되었으며, 금이 유통에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미국의 금본위제 (1933년)

1933년 미국은 대공황의 여파로 금본위제를 폐지하고, 국민들에게 금화를 법정화폐인 지폐로 교환하도록 했습니다. 당시 금화는 지폐보다 가치가 더 높았기 때문에, 사람들은 금화를 보유하고 지폐를 사용하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금화를 회수하여 금본위제를 중단하게 되었습니다. 이 또한 그레샴의 법칙의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1965년 미국의 동전 개혁

1965년 미국은 동전 주조에서 은의 사용을 줄이고, 니켈과 구리를 사용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로 인해 순은으로 된 옛날 동전들이 가치가 더 높아지게 되었고, 사람들은 은 동전을 보유하고 새로 주조된 동전을 거래에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순은 동전은 시장에서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짐바브웨의 초인플레이션 (2000년대)

2000년대 초 짐바브웨는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었고, 자국 화폐인 짐바브웨 달러의 가치가 급락했습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미국 달러나 남아프리카 공화국 랜드와 같은 외화를 보유하고, 짐바브웨 달러를 주로 거래에 사용했습니다. 결과적으로 가치가 높은 외화는 유통에서 사라지고, 가치가 낮은 자국 화폐만이 시장에 남게 되었습니다.

 

암호화폐와 법정화폐 (21세기)

현대의 사례로는 암호화폐와 법정화폐의 관계를 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가 법정화폐와 동시에 사용될 때, 암호화폐의 가치가 상승하거나 변동성이 큰 경우, 사람들은 암호화폐를 보유하려 하고, 가치가 안정적인 법정화폐를 거래에 사용하게 됩니다. 이는 그레샴의 법칙의 현대적 적용 사례로 볼 수 있습니다.

 

베네수엘라의 경제 위기 (2010년대)

베네수엘라 역시 극심한 인플레이션을 겪으면서, 자국 화폐인 볼리바르의 가치가 급격히 하락했습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미국 달러나 유로화와 같은 외화를 보유하고, 가치가 떨어진 볼리바르를 일상 거래에 사용했습니다. 이는 그레샴의 법칙이 현대 경제에서도 여전히 적용되는 사례입니다.

 

그레샴의 법칙은 화폐 경제의 기본 원칙으로, 다양한 역사적 상황과 현대 경제에서도 반복적으로 나타납니다. 가치가 다른 두 종류의 화폐가 공존할 때 사람들은 더 가치 있는 화폐를 보유하고 덜 가치 있는 화폐를 유통시키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경제 정책과 화폐 발행에 있어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위에서 살펴본 이러한 사례들은 그레샴의 법칙이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실제 경제 활동에서 관찰되는 현상임을 보여줍니다.